Surprise Me!

[기업기상도] 맑은 기업 vs 흐린 기업

2023-10-01 0 Dailymotion

[기업기상도] 맑은 기업 vs 흐린 기업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추석 연휴도 벌써 나흘째입니다.<br /><br />긴 연휴에도 세계 어딘가에선 우리 기업들은 쉬지 않고 무언가 사업에 매진하고 있을텐데요.<br /><br />기업기상도는 추석 연휴를 맞아 올해 들어 좋은 실적으로 한가위가 풍성한 기업들, 또 그렇지 못한 기업들을 짚어봤습니다.<br /><br />김종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한 주 기업뉴스를 리뷰하는 주간 기업기상도입니다.<br /><br />대체공휴일까지 생겨 여유로운 황금연휴, 잘 보내고 계십니까?<br /><br />이번 연휴가 신발끈을 다시 매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하며 이번 주 기업기상도는 올해 추석이 가장 풍성한 기업, 또 그렇지 못한 기업들을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먼저 현대자동차입니다.<br /><br />올해 추석이 가장 풍성한 기업입니다.<br /><br />3분기 연속 실적 기록을 경신 중입니다.<br /><br />고급차, 전기차 매출이 쑥 늘어난 결과죠.<br /><br />노사분규로 3분기 실적이 꺾인다던 우려도 초유의 5년 연속 무분규 임금협상 타결로 사라졌습니다.<br /><br />부품사 현대모비스도 노사협상 타결에 3분기 전망치를 넘는 실적이 예상되고 나란히 실적 행진을 하던 기아도 노사분규만 아니면 호조세가 이어질 전망입니다.<br /><br />현대의 아픈 손가락이라면 단연 중국인데요.<br /><br />8월에는 신모델을 앞세워 7일보다 11% 더 팔렸는데, 이제 반전 가능할까요?<br /><br />다음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,현대로템,한국항공우주 KAI 등 방산기업들입니다.<br /><br />K-방산 역시 잭팟이 이어질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작년 로템 k2 전차, 한화 k9 자주포, KAI FA50 경공격기까지 안보를 우려한 폴란드가 20조원 규모의 무기 구입 기본계약을 맺더니 7조원대 1차 이행계약을 계기로 인도가 시작됐고 기업 실적에도 반영되기 시작됐습니다.<br /><br />이게 다가 아니죠.<br /><br />한화는 2조원대 호주 장갑차, 또 사우디 천무 로켓 수출도 있었죠.<br /><br />폴란드는 한국산 잠수함에도 관심을 두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한국의 세계 방산 점유율은 작년까지 5년간 2%, 순위 9위지만 곧 '방산 빅5'에 든다는 관측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이번엔 KB,신한,하나,우리,NH농협 5대 금융그룹입니다.<br /><br />불황에 금리 인하, 사회공헌 압박을 받아도 이익 신기록 행진이 이어집니다.<br /><br />10조9,000억원, 상반기 5개사 순익으로 사상 최대인데요.<br /><br />1위 KB만 3조원에 육박했고 NH농협은 26%가 넘는 최고 증가율로 전체 4위였습니다.<br /><br />증권.보험이 없는 우리금융을 빼면, 수수료, 투자 등에서 얻은 비이자이익 급증 덕을 톡톡히 봤습니다.<br /><br />5대 금융 전체로는 1년 전보다 65%나 늘었고 하나금융은 거의 3배였죠.<br /><br />하반기도 추세 자체가 바뀔 것 같진 않습니다.<br /><br />다만, 소상공인,가계부채 위험이 커지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서입니다.<br /><br />이제 흐린 기업입니다.<br /><br />업비트.빗썸 등 가상자산거래소들입니다.<br /><br />가상자산값은 뛰는데, 실적은 뚝 떨어졌습니다.<br /><br />거래소는 매매 수수료로 벌죠.<br /><br />그러려면 상장자산값이 뛰고 인기가 많아야 합니다.<br /><br />6월 말 대표 가상자산 비트코인 값은 작년 말보다 90%, 시가총액 2위 이더리움은 60%나 뛰었죠.<br /><br />하지만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의 상반기 매출, 영업이익은 작년보다 37%와 47%가 급감했습니다.<br /><br />그나마 여긴 낫습니다.<br /><br />2위 빗썸은 매출 60%, 이익은 90%나 줄었으니까요.<br /><br />잘 보면, 값이 오른 덕에 고객이 맡긴 자산 평가액이 늘어도 수량은 줄었는데, 가능성은 두 가지입니다.<br /><br />고객들이 팔고현금화했거나 해외거래소로 떠났거나죠.<br /><br />다음은 GS건설 보시죠.<br /><br />아파트 주차장 붕괴에 내내 홍역을 치렀습니다.<br /><br />사건이 터진 건 4월 29일.<br /><br />입주 5개월을 앞둔 검단 LH아파트 현장의 지하주차장이 무너졌죠.<br /><br />이후 시공사 GS건설은 고난의 행군이었습니다.<br /><br />정부 압박과 계약자 분노에 전면 재시공을 약속했고, 이 건으로 10개월 영업정지가 예상되는 상황에 몰렸습니다.<br /><br />다른 GS아파트 하자까지 불거져 '순살자이'를 비롯해 갖가지 오명을 얻었고 이 와중에 특별세무조사도 있었습니다.<br /><br />이 사건으로 우리 국민은 보 없이 기둥,슬래브로 지탱하는 무량판 구조란 말 배웠는데요.<br /><br />철근을 빼먹은 무량판 아파트가 LH에만 15곳 더 있는 게 드러났습니다.<br /><br />마지막은 CJ ENM입니다.<br /><br />최강 콘텐츠 왕국이 흔들립니다.<br /><br />고강도 구조조정에도 1분기 500억원이 넘는 영업손실을 냈는데 2분기도 304억원 손실이 났고 매출도 줄었죠.<br /><br />음악 부문을 빼면 주력 영화,드라마 등 콘텐츠 사업이 어렵습니다.<br /><br />영화 더 문 흥행 실패에 드라마 일부 히트작들로도 반전이 쉽지 않습니다.<br /><br />특히, 9,300억원을 주고 산 미국 제작사 피프스시즌은 작가,배우노조의 파업이 겹쳐 작품이 지연되며 손실이 계속 나고 있죠.<br /><br />OTT 티빙은 가입자가 늘었지만 제작비 상각 부담이 큰 실정입니다.<br /><br />CJ ENM의 위기는 K콘텐츠의 위기로 번질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구조조정이나 재무대책보다는 흐름을 바꿀 빅히트작 등장이 절실합니다.<br /><br />덜도 말고 더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란 말 있죠.<br /><br />하지만 올해는 이 말이 들어맞지 않아 아쉽습니다.<br /><br />연휴 뒤엔 4분기인데요.<br /><br />확실한 경기 반등이 힘들면 반등의 계기라도 마련해야겠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주간 기업기상도였습니다.<br /><br />PD 김선호<br />AD 이영은<br />송고 김종수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